맨위로가기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48kg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48kg급 경기는 2008년 8월 9일 베이징 항공항천대학 체육관에서 열렸다. 중화인민공화국의 천셰샤가 금메달을, 튀르키예의 시벨 오즈칸이 은메달을 획득했으나, 이후 도핑 테스트 결과 양성 반응으로 실격 처리되었다. 이에 따라 대만(TPE)의 천웨이링이 금메달, 대한민국의 임정화가 은메달, 태국(THA)의 펜시리 라오시리쿨이 동메달을 받았다. 임정화는 이 대회에서 대한민국 선수단의 첫 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8년 여자 역도 -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53kg급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53kg급 경기는 프라파와디 자로엔라타나타라쿤이 금메달을, 윤진희가 은메달을, 나스타샤 노비카바가 동메달을 획득했으나 노비카바는 약물 검사로 실격 처리되었다.
  • 2008년 여자 역도 -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58kg급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58kg급 경기에서 중국의 천옌칭이 인상 106kg, 용상 138kg을 들어올려 합계 244kg으로 올림픽 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53kg급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53kg급 경기는 프라파와디 자로엔라타나타라쿤이 금메달을, 윤진희가 은메달을, 나스타샤 노비카바가 동메달을 획득했으나 노비카바는 약물 검사로 실격 처리되었다.
  •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58kg급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58kg급 경기에서 중국의 천옌칭이 인상 106kg, 용상 138kg을 들어올려 합계 244kg으로 올림픽 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 올림픽 역도 - 2016년 하계 올림픽 역도
    2016년 하계 올림픽 역도는 리우데자네이루에서 남자 8체급과 여자 7체급으로 나뉘어 진행된 역도 경기로, 260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중국이 종합 1위를 차지했고 대한민국은 윤진희의 동메달로 종합 15위를 기록했으며 도핑 문제로 순위가 변경되기도 했다.
  • 올림픽 역도 - 1896년 하계 올림픽 역도
    1896년 하계 올림픽 역도는 아테네 파나티나이코 스타디움에서 남자 경기만 진행되었으며, 한손과 양손 두 종목에 5개국 7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비고 옌센과 론세스톤 엘리엇이 금메달을 획득했다.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48kg급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종목여자 48kg급 역도
대회2008년 하계 올림픽
경기장베이징 항공항천대학 체육관
날짜8월 9일
참가 선수14명
참가 국가11개국
메달리스트
금메달첸 웨이링
금메달 국가TPE
은메달임정화
은메달 국가KOR
동메달펜시리 이오시리쿨
동메달 국가THA
올림픽 역도
이전 대회2004
다음 대회2012

2. 경기장

경기는 베이징의 베이징 항공항천대학 체육관에서 진행되었다.

3. 경기 일정

경기는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48kg급 경기는 2008년 8월 9일 오전에 진행되었다. 모든 시간은 중국 표준시(UTC+8) 기준이다.

날짜시간경기
2008년 8월 9일10:00A조


4. 경기 결과

순위선수몸무게인상 (kg)용상 (kg)합계 (kg)
123기록123기록
천웨이링 (중화 타이베이)A47.1184878784108112115112196
임정화 (대한민국)A47.6283868886106110113110196
펜시리 라오시리쿨 (태국)A47.6785858585110114114110195
4미야케 히로미 (일본)A47.3580828280105110110105185
5멜라니 노엘 (프랑스)A47.91757880809710010097177
6오시로 미사키 (일본)A47.627780808092969692172
7마르제나 카르핀스카 (폴란드)A47.627982827992929792171
8마릴루 도조이 (캐나다)A47.757376787690909690166
9카를라 모레노 (니카라과)A47.076565716583838585150
프람시리 분피타크 (태국)A47.95848484DNF
게니 파글리아로 (이탈리아)A47.85828282DNF
실격천셰샤 (중화인민공화국)A47.4690939595113115117117212[1]
시벨 오즈칸 (터키)A47.8086888888108108111111199[2]


  • 당초 중화인민공화국의 천셰샤가 올림픽 신기록을 세우며 1위를 차지했으나, 도핑 테스트 결과 양성 반응으로 실격 처리되었다.[1]
  • 터키의 시벨 오즈칸도 2위를 기록했으나, 도핑 테스트 결과 양성 반응으로 실격 처리되었다.[2]

4. 1. 메달리스트

천웨이링 (중화 타이베이)
임정화 (대한민국)
펜시리 라오시리쿨 (태국)

[1][2][3]

4. 2. 출전 선수

선수생년월일몸무게최고기록[4]비고
1陈燮霞|천셰샤중국어(25세)47.46214kg]]|]] 2007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2Mélanie Noël|멜라니 노엘프랑스어(22세)47.91178kg
3Genny Pagliaro|제니 팔리아로it(19세)47.85194kg]]|]]|]]|]] 2008년 유럽 역도 선수권 대회
4미야케 히로미(22세)47.35191kg-- 2006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5오시로 미사키(24세)47.62152.5kg
6임정화(21세)47.62
7Karla Moreno|카를라 모레노es(20세)47.07148kg와일드카드
8Marzena Karpińska|마르제나 카르핀스카pl(20세)47.62166kg
9Pramsiri Bunphithak|쁘람시리 분피탁th(24세)47.95196kg]]|]]|]]|]] 2007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10Pensiri Laosirikul|펜시리 라오시리쿨th(24세)47.67203kg-- 2005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 2007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11천웨이링(24세)47.11181kg
12시벨 오즈칸(20세)47.80196kg-- 2008년 유럽 역도 선수권 대회
13누르잔 타이란(24세)47.84210kg--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48kg급
-- 2003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 2002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14Marilou Dozois-Prevost|마릴루 도조이스-프레보스트영어(22세)47.75161kg


4. 3. 기존 기록

경기 전 세계 기록과 올림픽 기록은 다음과 같았다.

구분종목선수기록장소날짜
세계 기록인상杨炼|양롄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98kg산토도밍고es, 도미니카 공화국2006년 10월 1일
용상陈燮霞|천셰샤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120kg타이안, 중화인민공화국2007년 4월 21일
합계杨炼|양롄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217kg산토도밍고es, 도미니카 공화국2006년 10월 1일
올림픽 기록인상누르잔 타일란 (터키)97.5kg아테네, 그리스2004년 8월 14일
용상아리 위라타본 (태국)115kg아테네, 그리스2004년 8월 14일
합계누르잔 타일란 (터키)210kg아테네, 그리스2004년 8월 14일


4. 4. 대회 기록

종목선수기록장소날짜
용상천셰샤117kg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2008년 8월 9일
합계천셰샤212kg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2008년 8월 9일


5. 도핑 적발 및 메달 박탈

2008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48kg급에서 중화인민공화국(중국)의 천셰샤와 튀르키예의 시벨 오즈칸은 각각 금메달과 은메달을 획득했으나, 2008년 샘플의 도핑 테스트 결과 양성 반응으로 실격 처리되어 메달이 박탈되었다.[1][2] 이는 스포츠 정신에 위배되는 행위로 기록되었다. 시벨 오즈칸은 2016년 12월 1일 스포츠 중재 재판소에 항소하였으나 최종 기각되었다.[3]

5. 1. 도핑 관련 추가 정보

2016년,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는 2008년 하계 올림픽 당시 채취한 선수들의 샘플을 재조사하여 도핑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중화인민공화국(중국)의 첸시에샤와 튀르키예의 시벨 오즈칸이 도핑 양성 반응을 보이며 실격 처리되었다.[1][2] 첸시에샤는 원래 금메달, 시벨 오즈칸은 은메달을 획득했으나, 도핑 적발로 인해 메달이 박탈되었다. 시벨 오즈칸은 2016년 12월 1일 스포츠 중재 재판소에 항소하였으나 최종 기각되었다.[3]

이로 인해, 원래 은메달을 획득했던 대한민국의 임정화는 동메달에서 은메달로 승격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IOC sanctions eight athletes for failing anti-doping test at Beijing 2008 and London 2012 https://www.olympic.[...]
[2] 웹사이트 IOC sanctions Turkish weightlifter for failing anti-doping test at Beijing 2008 https://www.olympic.[...]
[3] 웹사이트 SIBEL ÖZKAN KONAK APPEAL DISMISSED BY THE COURT OF ARBITRATION FOR SPORT http://www.tas-cas.o[...]
[4] 웨이백 personal best in this weight class or below in the IWF database http://www.iwf.net/r[...] 2011-09-17
[4] 웨이백 personal best in this weight class or below in the IWF database http://www.iat.uni-l[...] 2009-12-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